본문 바로가기

MUSIC/Melodics

(5)
가락 이론 [5] _ 악절의 의미 오도권을 사용하여, 대중적인 코드 진행을 갖는 멜로디를 제작해보았습니다. 이제 음악의 선율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의 문제가 남아있군요. 오늘은 음악의 형태, 즉 악곡(Musical form)의 가장 기본적인 악절(Phrase)에 대해 배워보기로 하겠습니다. 1. 악절(Pharase)과 동기(motif) 악절은 어떠한 음악의 형태에서 갖추는 작은 단위를 의미합니다. 물론 가장 작은 단위는 동기(motif)입니다. 이전에 제가 제작한 멜로디에서 악절과 동기를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겠네요! 2. 작은 악절과 큰악절 악절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보통 4마디를 갖는 멜로디는 작은악절이라고 칭합니다. 작은악절 두 개가 모이면 큰악절(Period)이라 칭하고요. 위에서 악절이라고 칭한 부분은 아나크루시스까..
가락 이론 [4] _ 아나크루시스(Anacrusis) 아나크루시스(Anarcrusis)는 시적 그리고 음악적 용어로 반복되는 정형적인 음악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 첫마디에 삽입하는 음악의 기법입니다. 오늘은 이 아나크루시스에 대해 제대로 공부해보고 어제 만든 멜로디에 입혀보겠습니다! 1. 단조로움은 더 이상 NO! 아나크루시스는 첫마디에 보통 삽입합니다. 그리고 이는 박자의 규율에 얽매이지 않죠. 이는 대중적인 가요에서도 정말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대형 기획사인 JYP에서 "JYP~" 하고 노래의 시작에 외치는 강렬함이 있겠네요. (요즘은 안 넣지만... ㅎㅎ) 박자의 규율에 벗어난 아나크루시스는 첫마디에 넣지만, 중간중간 박자의 규율에 맞추어 또 넣곤 합니다. 조화롭지 않은 조화로움이라고 할까요? 따라서 아나크루시스는 멜로디에 강한 힘을 실어..
가락 이론 [3] _ 오도권 화음 (다장조 예시) 오도권을 사용하여 음의 진행 순서를 잡으면, 화음을 넣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화음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주로 사용되는 화음 진행 코드 대중적인 팝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음 진행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 I - bV7 - IV II) iib - V7 - I III) Ic - V7 - I 이외에도 더 많지만, 음악의 장점은 자유로운 구성에 있는 것 같습니다. 직접 만들어보고 배워야 하는 것 같아요. 2. Ic - V7 - I 화음 진행 예시 들어보기 지난번에 사용한 예시 코드를 화음을 쌓아서 들어보도록 합시다. 원래 악보는 다음과 같았는데요. I- bV7 - IV 진행 코드를 넣어주면 다음과 같아집니다. 한번 들어봅시다. * 가락 이론 목차 보러 가기 가락 이론 목..
가락 이론 [2] _ 오도권 사용 예시 오도권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알아봅시다. 1. 진행 방법에 따른 사용 예시 _ 단 방향 진행 오도권의 음들을 단방향으로 하나 씩 픽업해봅시다. 개수 또한 임의로 정합니다. 팝에서는 주로 3개를 사용하니 저도 3개를 픽업해볼게요. 저는 그냥 " C G D " 로 정했습니다. 이렇게 진행하면 오 도권인가요? 오도권은 이렇게 음을 구성할 수 도 있지만, 이렇게 정형화되어서 사용하진 않아요. 쉽게 이야기해서 음 진행의 머리만 잡아주는 것이에요. 이 진행으로 즉석에서 작곡을 해보자면, 이렇게 틀어서 사용할 수 있어요! 한번 들어봅시다! 2. 진행 방법에 따른 사용 예시 _ 양 방향 진행 이번에는 음 픽업을 교차해서 픽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주세요. 저는 " D C G " 로 잡아볼게요! 한..
가락 이론 [1] _ 오도권이란 무엇인가? 1. 오도권이란? 클래식이든, 대중적 음악이든지 간에 음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코드들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들은 오도권의 관계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오도권은 어떤 음을 시작으로 하여 완전 5도의 음들을 나열해보면(위 #, 혹은 아래 b), 원래의 음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즉, 음의 완전 5도 순서를 한 바퀴 돌린 것이 오 도권인 셈이지요. 다장조를 메인으로 하는 오도권의 예시 그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2. 가단조를 메인으로 하는 오도권(사도권) 오도권은 사 도권이라고도 불립니다. 만약 가단조를 메인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이 오도권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편의상 소문자로 표현하였습니다. * 오도권을 완전 5도 간의 관계라고 서술했지만, 12 음계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왜냐하면 7 음계..